본문 바로가기
지식의 정원-잡학과 박학의 만남

절후가(節候歌)를 아시나요?-서예, 농경,생활의 변화의 다양한 표현

by shanim 2025. 3. 23.
728x90
반응형

"절후가(節候歌)"는 **음양의 팔기(八氣)**와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칠십이후(七十二候)**를 포함하여 자연의 변화와 기후의 흐름을 세밀하게 표현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태음력(太陰曆)**을 기준으로 하여, 절기와 그에 따른 **후(候)**를 나누어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합니다. 이를 통해 서예와 같은 예술에서 자연의 변화를 표현하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됩니다.

절후가절기에 대한 노래로, 음양오행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연의 변화기후의 흐름을 1년 동안 세밀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춰 농업, 생활, 문화 등에서 중요한 기준을 제공합니다. 절후가는 전통적인 농업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24절기와 그에 따른 72후를 노래로 표현한 것입니다.

  • 절기(節氣): 1년을 24등분하여 자연의 변화에 맞춘 기후의 흐름을 나타냅니다.
  • 후(候): 24절기를 더욱 세분화하여 72등분으로 나누고, 이를 통해 5일마다 자연의 변화를 세밀하게 기록합니다.

1. 팔기(八氣)

팔기는 음양의 기운과 관련된 여덟 가지 기본적인 자연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들은 계절 변화기후 변화에 따라 자연의 에너지 흐름을 구체적으로 나타냅니다. 팔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 네 계절에 각각 **양기(陽氣)**와 **음기(陰氣)**가 교차하며 변화를 나타냅니다.

팔기의 각 기운

  1. 춘기(春氣): 봄의 기운
  2. 여기(夏氣): 여름의 기운
  3. 추기(秋氣): 가을의 기운
  4. 동기(冬氣): 겨울의 기운
  5. 온기(溫氣): 온화한 기운
  6. 한기(寒氣): 차가운 기운
  7. 열기(熱氣): 뜨거운 기운
  8. 서기(暑氣): 더운 기운

팔기는 계절과 관련된 자연의 에너지 변화를 설명하는데, 이는 음양의 흐름과 연관되며, 계절의 시작과 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2.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

이십사절기는 태음력을 기준으로 1년을 24개의 절기로 나누어, 각각의 절기마다 기후 변화농업의 기준을 제공합니다. 각 절기는 음력 15일을 기준으로 나뉘며, 태양의 위치계절 변화에 따라 정해집니다.

이십사절기의 한자와 의미

  1. 입춘(立春): 봄이 시작되는 시기
  2. 우수(雨水): 비와 물이 내리기 시작
  3. 경칩(驚蟄): 겨울잠을 자던 동물이 깨어나는 시기
  4. 춘분(春分): 낮과 밤이 길이가 같은 시기
  5. 청명(淸明): 하늘이 맑고 깨끗한 시기
  6. 곡우(穀雨): 농작물을 위한 비가 내리는 시기
  7. 입하(立夏): 여름이 시작되는 시기
  8. 소만(小滿): 작물이 가득 차지 않지만 성장하기 시작
  9. 망종(芒種): 씨앗을 심는 시기
  10. 하지(夏至): 낮이 가장 긴 시기
  11. 소서(小暑):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
  12. 대서(大暑): 여름의 가장 더운 시기
  13. 입추(立秋): 가을이 시작되는 시기
  14. 처서(處暑): 더위가 끝나가는 시기
  15. 백로(白露): 이슬이 맺히는 시기
  16. 추분(秋分): 낮과 밤이 길이가 같은 시기
  17. 한로(寒露): 차가운 이슬이 내리는 시기
  18. 상강(霜降): 서리가 내리는 시기
  19. 입동(立冬): 겨울이 시작되는 시기
  20. 소설(小雪): 눈이 조금씩 내리는 시기
  21. 대설(大雪):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
  22. 동지(冬至): 밤이 가장 긴 시기
  23. 소한(小寒): 추위가 시작되는 시기
  24. 대한(大寒): 가장 추운 시기

이십사절기의 특징

  • 이십사절기농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농사 일정과 기후 변동을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절기마다 자연의 변화를 느끼고 사람들의 삶과 활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3. 칠십이후(七十二候)

**72후(七十二候)**는 24절기를 세분화하여 1년을 72등분하고, 각 구간에서의 자연 현상이나 기후 변화, 동식물의 활동 등을 더 세밀하게 추적하는 시스템입니다. 72후5일마다 자연의 변화를 기록하는데, 이를 통해 농업, 생활, 예술 등에서 중요한 기준을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72후는 기후와 자연 현상을 더 정확히 관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의 흐름을 따르는 방식입니다.

1. 입춘(立春)

  • 초목생장(草木萌動): 풀과 나무가 자라기 시작한다
  • 지해빙(地解氷): 땅의 얼음이 풀린다
  • 동물깨어남(蟄虫啓戸):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난다

2. 우수(雨水)

  • 기비내림(春雨初霖): 봄비가 내리기 시작
  • 새들비맞음(獺祭魚): 새들이 비를 맞는다
  • 새싹돋음(桃始華): 새싹이 돋기 시작

3. 경칩(驚蟄)

  • 동물의 활동 시작(蟄蟲啓戶): 동물이 깨어난다
  • 겨울잠에서 깨어남(驚蟄): 동물들이 활동을 시작

4. 춘분(春分)

  • 해와 달의 길이가 같음(春分):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진다
  • 초목이 싹트기 시작: 봄의 기운이 완전히 퍼진다

5. 청명(淸明)

  • 하늘이 맑고 깨끗함(清明): 맑고 청명한 날씨가 지속됨
  • 꽃들이 피기 시작: 꽃이 피고 나무가 푸르게 자라기 시작한다

6. 곡우(穀雨)

  • 곡식의 비(穀雨): 비가 내리며 곡식이 자라기 시작한다
  • 봄비가 내리며 농사가 시작된다

7. 입하(立夏)

  • 여름의 시작(立夏): 여름이 시작되며, 기온이 상승한다
  • 초목이 자라기 시작: 여름 기온에 맞게 초목이 자란다

8. 소만(小滿)

  • 작물이 자라기 시작: 작물이 자라며, 여름의 기운이 완전히 퍼진다
  • 초목이 무성하게 자라기 시작

9. 망종(芒種)

  • 씨앗을 심는 시기(芒種): 씨앗을 심고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한다
  • 식물이 자라나며 여름의 더위가 다가온다

10. 하지(夏至)

  • 여름의 가장 긴 날(夏至): 낮이 가장 길고, 기온이 최고조에 달한다
  • 여름의 절정에 이른다

11. 소서(小暑)

  • 여름의 더위 시작(小暑): 여름의 기운이 시작되고, 더위가 찾아온다

12. 대서(大暑)

  • 가장 더운 시기(大暑): 여름의 절정, 뜨거운 날씨가 지속된다

13. 입추(立秋)

  • 가을의 시작(立秋): 가을이 시작되며 기온이 점차 내려간다
  • 여름이 끝나고 가을의 기운이 다가온다

14. 처서(處暑)

  • 더위가 끝나가는 시기(處暑): 더위가 끝나고, 날씨가 서늘해지기 시작한다
  • 기온이 내려간다

15. 백로(白露)

  • 이슬이 맺히기 시작(白露): 이슬이 맺히고, 가을의 기운이 완전히 도래한다
  • 가을이 시작된다

16. 추분(秋分)

  •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음(秋分): 낮과 밤의 길이가 같고, 기온이 서서히 내려간다

17. 한로(寒露)

  • 차가운 이슬(寒露): 차가운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고, 가을의 깊어짐
  • 차가운 기운이 감돈다

18. 상강(霜降)

  • 서리가 내리기 시작(霜降): 서리가 내리며, 가을의 끝자락
  • 차가운 날씨가 도래한다

19. 입동(立冬)

  • 겨울의 시작(立冬): 겨울이 시작되고 기온이 급격히 내려간다
  • 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20. 소설(小雪)

  • 첫눈이 내리는 시기(小雪): 눈이 조금씩 내리기 시작한다
  • 겨울의 기운이 완전히 도래한다

21. 대설(大雪)

  • 눈이 많이 내리는 시기(大雪): 눈이 많이 내리며 겨울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22. 동지(冬至)

  • 밤이 가장 긴 시기(冬至): 밤이 가장 길고, 기온이 가장 낮은 시기
  • 겨울의 절정에 이른다

23. 소한(小寒)

  • 추위가 시작되는 시기(小寒): 추위가 서서히 시작되고, 기온이 내려간다

24. 대한(大寒)

  • 가장 추운 시기(大寒): 가장 차가운 날씨가 지속된다
  • 겨울의 마지막 절정에 다가간다

72후는 24절기를 세분화하여 1년을 72등분하며, 각 후는 자연의 변화기후 변동을 세밀하게 추적하는 시스템입니다. 각 후의 한자는 자연 현상이나 동식물의 변화를 표현하며, 서예와 같은 예술에서 자연의 흐름을 반영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72후는 기후 변화, 농업, 생활 등에 큰 영향을 미친 자연의 변화를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3. 360후(三百六十候)

**360후(三百六十候)**는 1년을 360등분하여 하루 단위로 자연과 기후 변화를 기록하는 전통적인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고대 중국에서 발전한 음양오행의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자연의 미세한 변화를 하루하루 추적하고, 이를 통해 농업과 생활의 리듬을 맞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360후는 72후24절기를 바탕으로 한 세분화된 기후 변화 추적 시스템으로, 기후, 동식물의 성장, 농업 활동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제공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360후의 기초 개념

1년은 365일이지만, 360후1년을 360등분하여 기후와 자연 변화를 추적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는 1년360등분하여 각 하루를 기록한 것으로, 24절기를 기준으로 각 절기마다 15개의 후를 나누어 각 후를 설정한 방식입니다. 즉, 1년360등분하여 하루 단위로 자연의 변화를 예측하는 시스템입니다.

360후의 구성

360후72후를 더욱 세분화한 것으로, 24절기를 기준으로 하루 단위로 기후와 자연 현상을 기록합니다. 각 절기마다 15개의 후가 배정되어 총 360개의 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 후는 기후자연 변화에 대한 세밀한 관찰을 통해 자연과의 조화를 이끌어내고, 농업과 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72후는 1년을 72등분하여 각 후마다 5일 단위로 자연 변화를 추적하는 시스템입니다.
  • 360후는 이 72후5일씩 나누어 하루 단위로 세분화한 것으로, 기후자연의 흐름을 하루하루 추적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360후의 활용과 중요성

360후자연의 변화기후 흐름정밀하게 추적하여 농업생활의 리듬을 자연에 맞게 조정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후 변화를 예측하고, 적절한 시점농작물을 심거나 수확할 수 있었으며, 기후에 맞는 생활을 할 수 있었습니다.

  1. 농업에 대한 도움: 360후는 하루 단위로 기후의 변화를 추적하여 농사와 관련된 작업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비가 많이 오는 시기에 농작물을 심거나 기온이 높아지는 시기에 농작물의 수확을 맞추는 등의 활용이 가능했습니다.
  2. 기후 예측과 대응: 360후는 기후 변화와 날씨 현상에 대해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해 주며, 이에 맞춰 생활 전반을 조정할 수 있었습니다.
  3. 자연의 리듬과 인간의 생활: 360후는 음양오행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자연의 변화에 맞춰 인간의 삶과 활동을 조화롭게 이끌어갈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360후와 24절기, 72후와의 관계

  • 24절기1년24등분하여 주요 기후 변화농업 활동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 시점을 제공합니다.
  • 72후는 이 24절기를 기준으로 5일 단위로 나눈 것으로, 한 절기마다 3개의 후를 기록하는 방식입니다.
  • 360후72후5일 단위로 더 세분화하여 하루 단위로 자연의 변화를 추적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따라서 360후72후24절기를 기반으로 더 정확하고 세밀한 기후 예측을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360후의 적용 사례

고대에는 360후를 사용하여 농업 작업을 조정하거나 기후 변화에 따라 생활 방식을 조정했습니다. 예를 들어:

  • 봄철의 시작과 끝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씨앗을 심는 시기물빠짐 시기를 정밀하게 맞출 수 있었습니다.
  • 여름이 다가오는 시점에 맞춰 농작물을 관리하거나 여름철 폭염에 대비할 수 있었습니다.
  • 가을철 수확 시기를 정확히 예측하여 수확 시기를 맞추고, 풍작을 계획할 수 있었습니다.
  • 겨울철 동식물의 상태를 세밀하게 추적하고, 동물의 활동이나 식물의 생장을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360후와 현대

오늘날에도 360후의 개념은 기후 변화농업 예측에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고대의 기후 변화 추적 방법은 현대 기상학과 농업 기술에서 정확한 기후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적인 개념을 제공합니다. 또한, 자연의 흐름에 맞춰 사람들의 생활농업 활동을 조정하는 방법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중요한 정보로 쓰일 수 있습니다.

 

360후1년을 360등분하여 하루 단위로 기후와 자연의 변화를 추적하는 정밀한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농업생활 리듬을 자연의 변화에 맞춰 조정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연의 흐름기후 변화를 세밀하게 예측할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오늘날에도 기후 변화 예측농업 활동 계획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는 중요한 전통적인 시스템입니다. 360후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삶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 가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728x90
반응형